전체 글50 국내 DKT 관련 선행연구(2) 이성현(2022). Explainable feature 임베딩을 통한 지식 추적 성능 향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위의 논문을 요약함초록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교육이 자리잡으면서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서 학습을 진행하는 온라인 학습이 보편화 되었음온라인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경과, 지식 상태에 따라 개인별 수준과 진도에 맞는 맞춤형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여 학습자의 지식 상태를 정확하게 추론하는 지식 추적(KT) 분야가 주목받고 있음딥러닝 기반의 지식 추적 모델은 기존의 지식 추적 모델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고하고 있음하지만 현재 딥러닝 기반의 지식 추적 모델은 구조적 개선에만 집중하여 연구되었으며, 대부분 학습 대상 지식과 해당 지식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만을 입력 .. 2024. 10. 28. 국내 DKT 관련 선행연구(1) 박나연, 이상민(2022). 간격 효과를 반영한 Deep Knowledge Tracing 기반 인공지능 모델 성능 개선 연구.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5(4), 222-236. 위의 논문 내용을 요약함서론covid-19로 인해 급작스럽게 시행된 온라인 러닝은 교육에 많은 변화를 가져옴( Pandey & Srivastava, 2020)더불어 인공지능이 급격하게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사회 전반에 사용되기 시작, 교육분야도 마찬가지영어교육에서도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음(성수진, 2022; 홍선주 외, 2020)이러한 변화의 핵심에는 Knowledge Tracing(KT) 기술이 있음최근 들어 디지털화로 축적된 학습자 빅데이터가 활용 가능해지면서 교육에서도 학습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 2024. 10. 28. [평가원 이슈페이퍼 요약] 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한 다중양식 학습분석 지표 선정 이명진, 최인봉, 동효관, 한정윤, 신효정(2023). 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한 다중양식 학습분석 지표 선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23-30-27. 보고서 내용을 요약함보고서 링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re.kr)1. 필요성 및 목적에듀테크의 발달과 교육환경의 변화, 학습분석 연구의 발전과 학습 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 지원 정책 추진으로 맞춤형 학습에서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의 중요성이 강조됨이에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 수집되는 온/오프라인 학습 데이터를 교육 이론과 데이터 주도의 분석 방법을 활용한 다중양식 학습분석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고자 함교육환경의 변화와 맞춤형 학습 지원에듀테크의 발달과 교육환경의 변화2020년 이후 교육환경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온라인.. 2024. 10.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컴퓨터 적응형 검사 이슈페이퍼 요약 구남욱, 김미림, 이소라, 곽민호(202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컴퓨터 적응형 검사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21-40-22. 1. 배경CBT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교과내용과 교과역량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새로운 문항을 도입지필평가에서는 측정하기 어려운 교과역량 및 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컴퓨터 기반 평가 체제의 도입을 준비학업성취도 평가에서 MST의 도입2022년에 전면 도입될 예정인 CBT 학업성취도 평가는 선형 검사(문항의 순서가 고정된 검사)적응형 검사는 학생 능력에 적합한 문항이나 문항군을 제공하는 검사선형 검사는 학생들 중 중간 수준 능력을 가장 정확하게 추정 / 적.. 2024. 7. 28. 이전 1 2 3 4 ··· 13 다음